top of page
  • Writer's pictureHansik Ahn

운주사 천불 천탑 (雲住寺 千佛 千塔)Thousand Buddha Statues and Pagodas (Hwasun Unjusa Temple)Hwasun, Jeollanam-do

Updated: Jun 26, 2021

Unjusa Temple carries the legend that State Preceptor Doseon built a thousand Buddha statues and pagodas in one day, but only the remains of the temple site are found in a low basin. The precise time when the temple was built is not known, but it seems to have flourished from the middle to the end of Goryeo. It was rebuilt on a large scale at the end of the 15th century and clos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7. Unjusa means “the place where clouds stay” or “driving the ship.” At least 70 stone statues of Buddha and 18 stone pagodas currently remain, but about 1000 statues of Buddha and pagodas originally existed. The 70 Buddha statues are scattered in the field, and the mountains vary in size, from scores of centimeter-small statues to more than 10m tall, big stone statues of Buddha. The plain and native shapes and the structure of the unbalanced and strange body, etc., mirror the local features during the Age of Goryeo.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figure or pattern of the stone pagoda is very unique, and the building has various types such as 3-, 5-, 7-stories, etc. The ball-shaped pagoda or the round stone-piled pagoda is an example of special-shaped pagodas. It is special because geometric patterns such as X and 川 are carved on the surface of the pagoda. Legend has it that, when State Preceptor Doseon built a thousand statues of Buddha and pagodas in one day, he tried to raise the Recumbent Buddha finally that night, but a tired, young monk told him a lie to stop working until morning came. The fact that Unjusa Temple has all special stone statues of Buddha and stone pagodas within one temple is a good example of expressing the religious creed through a thousand statues of Buddha and pagodas. It is helpful in research on the history of art and Buddhism in Korea.


도선국사가 하룻밤 사이에 천불천탑을 세웠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운주사는 나지막한 야산 분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절터이다. 절을 처음 지은 연대는 정확히 알지 못하나, 고려 중기에서 말기까지 매우 번창했던 사찰로 보이며, 15세기 후반에 다시 크게 지어졌다가 정유재란으로 폐찰되었다. 운주사(雲住寺)는 ‘구름이 머무는 곳’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 ‘배를 움직인다’는 뜻의 운주사(運舟寺)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돌부처 70구와 석탑 18기만이 남아 있으나, 조선 초기까지는 천 여 구의 불상과 탑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산과 들에 흩어져 있는 70여 구의 돌부처들은, 수 십 ㎝에서 10m 이상의 거대한 돌부처까지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평면적이면서 토속적인 생김새에 어색하고 균형이 잡히지 않은 신체 구조는 고려시대 지방적인 특색을 잘 보여주고 있다. 석탑 또한 그 모양이나 무늬의 표현방식이 매우 독특하여, 3층·5층·7층 등 층수도 다양하다. 둥근 공모양의 원형탑이나 호떡 모양의 돌을 올려놓은 듯한 원판형탑 등 특이한 모양의 탑도 있다. 또한 탑의 표면에 ‘X’, ‘◇’, ‘川’과 같은 기하학 무늬들이 새겨 있어 특이하다. 운주사에는 누운 부처(와불)가 있어 유명하다. 도선이 천불천탑을 하룻밤에 세울 때 맨 마지막으로 와불을 일으켜 세우려고 했는데, 공사에 싫증난 동자승이 닭이 울었다고 거짓말을 하여 불상을 세우지 못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운주사는 특이한 돌부처와 석탑이 모두 한 절 안에 있다는 점에서 천불천탑에 대한 독특한 신앙을 보여주는 좋은 예로서 우리나라 미술사와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곳이다.

-출처-문화재청












20 views0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