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Writer's pictureHansik Ahn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National Treasure No.84

Carved on a rock cliff in Gayasan Mountain, Unsan-myeon, Seosan, Chungcheongnam-do, this Buddha triad consists of Shakyamuni Buddha flanked by two bodhisattvas, one standing and the other seated in meditation pose. The triad has been admiringly dubbed “Smile of Baekje” and is comparatively better preserved than other contemporary rock-carved images thanks to its location, i.e., under a ledge. The principal Buddha of the triad, standing on a lotus pedestal, features a plump face with lunate eyebrows as well as almond-shaped eyes, flat and wide nose, and smiling lips, all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a benign look characterizing the Buddhist images of an ancient Korean kingdom, Baekje (18BC-660). His body is covered with a thick robe creating several U-shaped folds in front; around the head is a lotus halo enclosed by a flaming mandorla. A bodhisattva standing on his right side also has a face with chubby cheeks full of benign smiles and wears a bejeweled crown. He wears nothing on his upper body except the ornamentation around his neck and on both shoulders, but the skirt-like lower garment is draped down to cover the feet. The other bodhisattva seated in a meditation pose on the Buddha’s left side also has a plump, smiling face. The deity has both arms severely damaged, but the elaborate rendering of his posture with his right leg crossing the left which is pendent -- the left hand laid gently over the right ankle and the fingers of the right hand touching the right cheek, exhibits the excellent workmanship of the artist who carved him. This triad, which is unique since it includes a pensive bodhisattva, is believed to have depicted the three Buddhist deities- Shakyamuni, Maitreya, and Dipankara who appear together in the Avatamsaka Sutra. Art historians conjecture from the deities’ chubby, cheerful faces and other details as well as the principal Buddha’s imposing figure that it was carved between the late 6th and early 7th centuries. As suggested by its location in the area between Taean Peninsula and Buyeo, which had been a key strategic area linking Baekje sou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eastern coast of China, the triad is considered tangible evidence of the activ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East Asian regions during the period when it was carved.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을 따라 들어가면 층암절벽에 거대한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흔히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이 마애불은 암벽을 조금 파고 들어가 불상을 조각하여 형성되었다. 연꽃잎을 새긴 대좌(臺座) 위에 서 있는 여래입상은 살이 많이 오른 얼굴에 반원형의 눈썹, 살구씨 모양의 눈, 얕고 넓은 코, 미소를 띤 입 등을 표현하였는데, 전체 얼굴 윤곽이 둥글고 풍만하여 백제 불상 특유의 자비로운 인상을 보여준다. 옷은 두꺼워 몸의 윤곽이 드러나지 않으며, 앞면에 U자형 주름이 반복되어 있다. 둥근 머리광배 중심에는 연꽃을 새기고, 그 둘레에는 불꽃무늬를 새겼다. 머리에 관(冠)을 쓰고 있는 오른쪽의 보살입상은 얼굴에 본존과 같이 살이 올라 있는데, 눈과 입을 통하여 만면에 미소를 띠고 있다. 천의를 걸치지 않은 상체는 목걸이만 장식하고 있고, 하체의 치마는 발등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왼쪽의 반가상 역시 만면에 미소를 띤 둥글고 살찐 얼굴이다. 두 팔은 크게 손상을 입었으나 왼쪽 다리 위에 오른쪽 다리를 올리고, 왼손으로 발목을 잡고 있는 모습, 오른쪽 손가락으로 턱을 받치고 있는 모습에서 세련된 조각 솜씨를 볼 수 있다. 반가상이 조각된 이례적인 이 삼존상은『법화경』에 나오는 석가와 미륵, 제화갈라보살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존불의 묵직하면서 당당한 체구와 둥근 맛이 감도는 윤곽선, 보살상의 세련된 조형 감각, 그리고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는 쾌활한 인상 등에서 6세기 말이나 7세기 초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곳은 백제 때 중국으로 통하는 교통로의 중심지인 태안반도에서 부여로 가는 길목에 해당하므로, 이 마애여래삼존상은 당시의 활발했던 중국과의 문화교류 분위기를 엿볼 수 있게 하는 작품이라 하겠다.

-출처:문화재청_


4 views0 comments

Comments


bottom of page